[2016] 팥죽/ 이은주 > 신춘문예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오늘
2,287
어제
1,667
최대
3,320
전체
193,071
공모전
  • H
  • HOME 공모전 신춘문예
신춘문예

 

[한라일보] [2016] 팥죽/ 이은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이창민 조회 81회 작성일 2024-09-24 16:08:45 댓글 0

본문

팥죽/ 이은주

매월 달의 소유 기간은 멀면서 가깝다
쟁반에 빚어놓은 옹심이
달이 되려면 뜨거운 솥 안에서 익어야 한다
반은 떠있고 반은 잠긴 달들
팥물을 빨아들여서 잔뜩 부풀어 있다
오늘 뜬 달엔 팥죽이 묻어 있다
붉은 저녁이 걸쭉하게 담긴 그릇마다
몇 개의 잘 익은 달이 떠있다
그릇마다 달빛이 새어 나온다
그릇 하나를 밝히는 달빛,
하마터면 달빛을 엎지를 뻔 했다

예전에는 어머니의 죽 그릇에 달이 많이 떴었다
죽보다 달을 먼저 뜨셨다
만월이 씹히지도 않고 몰락한다
달이 하나 씩 줄어 들 때 마다 어두워졌지만
오늘은 어머니의 죽 그릇에 달이 그대로 떠있다
어디로 가는 길을 비추려고
죽 그릇에 달 하나를 남겨 두었을까
달 하나를 남기는 식량
누군가에게는 달이 되고 부적이 되는 애기동지
보름으로 갈수록 살이 오른다

동짓날 밤 수십 년째 비어있는 어머니의 밤을 열어 보면
그릇하나를 밝히는 얼음으로 빚은 달이 무수히 떠있다
해마다 오는 긴 밤을 비춰줄 달을 꺼내 놓으시는 걸까
그런 밤이어서 달이 익어 가는 걸까
저 달이 잘 익으면 드시기 좋겠다
청상은 불구의 밤을 부적으로 쓰는 달
저 달들을 골목마다 내걸고 싶다

심사평
세밀한 시적 구성, 신뢰와 온기 전해져

여전히 젊은 시를 대할 때는 가슴이 뛴다. 가슴에 달이 뜨게 하는 것도,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따뜻함을 건네는 것도 시 한 줄의 힘이다.

단 한 편의 당선작밖에 내지 않는데도 신춘지대를 통과하고 싶은 가슴이 아직도 여전한 시대라는 점은 즐거운 고통이다. 더구나 한라일보 신춘문예는 그 지정학적 위치부터 얼마나 매력적인가. 응모작들에서는 그러한 열기를 느낄 수 있었다. 광활한 시의 숲을 헤쳐 나오면서 어디에 이러한 예비시인들이 숨어 있었던가. 고투의 흔적들을 함께 느꼈다.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까지 응모한 이들이 눈에 띄었다.

하지만 몇 가지는 짚고 가자. 신춘의 경향성을 지나치게 의식한 작품들, 대체로는 산문시가 적지 않았다. 리듬감을 무시하거나, 현란하고 모호한 언어의 기교로 내면의 고백에 치중하고 있는 것도 거슬렸다. 간혹 내용이 허술한 경우, 정작 시가 지녀야 할 응축과 긴장성 등의 요소를 담보하지 못하거나, 내용이 있어도 감정의 과잉, 단순 발상에 머무르는 경우도 있었다. 좋은 시는 시인의 내면과 외피를 아우르는 치열한 과정에서 탄생하지 않는가. 과연 그런 작품을 찾을 수 있을까.

당선작 '팥죽'에 이르러서 심사위원들은 망설이지 않아도 되었다. 옹심이, 그 달의 이미지를 통한 어머니의 기억은 섬세하면서도 가볍지 않았다. 탄탄한 시적 구성으로 잔잔하게 직조된 그 속에서 온기가 느껴졌다. 신춘의 성격처럼 신선함, 치밀함, 신뢰할 만한 수준이라는 점에서 믿어도 좋았다. 확장된 시세계를 보이고 있는 '임관의 숲' 등 다른 경향의 세 편 역시 내공이 엿보였다.

당선작 외에 최종심까지 올라 논의된 작품들은 '망모'(홍성남) 등 네 편. '망모'는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작품으로, 오래도록 정진해오고 있음을 읽을 수 있었다. 이미지의 조율과 사유의 깊이 또한 엿보였으나 평면적이고 치밀함에서 조금 미흡했다. 산문시 '따뜻한 숲'(강동완), '꽃의 잠복'(이윤주)은 기교는 탁월했으나 상징과 이미지가 지나쳤다.

당선자에게 축하를 보내며 자신만의 언어의 집을 지으며 정진하고 있는 수많은 시인 지망생들에게는 오늘이 또 다른 시작의 관문이 되길 기원한다. 그리고 오늘 이 신춘의 첫 아침, 잠시나마 이 한 그릇 팥죽의 온기가, 달이 독자들에게 전해지기를!

문학평론가 김병택, 시인 허영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ITE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