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무등일보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양승수 > 신인상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오늘
1,028
어제
664
최대
3,544
전체
199,532
레몬
  • H
  • HOME 레몬 신인상
신인상

 

[2022 무등일보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양승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이창민 조회 277회 작성일 2022-01-15 22:41:43 댓글 0

본문

[2022년 무등일보 신춘문예 시부문 당선작] 양승수



만유인력


잘 여문 것 좇아 줄기와 가지 따라
억지로 삼키던 몇 모금의 물 따라
바쁘게 걸어온 길에서 폴짝 뛰어오른다
느껴지지 않던 중력이 어느 순간 무거워져
곤두박질치는 것이다
날아오르는 것이다
떨어질 때가 된 사과는 서서히 붉어지는 것이고
떨어지고 난 사과가 여전히 싱싱한 것은
사라지지 않은 관성, 따르다 남은 습관 탓이다
사과의 단맛은 그런 식이다
우리는 얼마나 많은 사과를 가졌을까
하루에도 몇 개의 사과가 공중으로 날아오를까
저로부터 최대한 멀리 뻗어
그러나 고작 몇 발자국 사과를 배웅 나갔다가
휘어졌던 가지가 그 탄력으로
복원되는 궤적을 그리며 돌아온다
돌아오는 가지 하나 횡단보도를 건넌다
걸음 재촉하는 신호등
가던 길 멈추고 고개 돌려 옆을 보았다면
중력이 늘 같은 방향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거나
받아들이거나
도로에는 각자 서로 다른 중력으로 달려온 것들
잠시 멈추어 서 있다
그러나 멈추었다는 것을 아는 자동차는 없다
아무도 시동을 끄지 않는다
떨어진 낙과의 단맛 같은 엔진소리
정지선에 닿기 전 이 곳은 공중이다
바람이 지나온 커브길에서
원심력과 구심력으로 뻗어나간 잎맥의 갈림길 따라
빨아들인 햇빛 같은 후회
꽃 피었다가 졌던 시간 흘러가지 않고 멈춰
오래 서성이던 발자국이었다가
흘러갈 곳 없는 소리들 엉켜있던 것이라 한들
사과를 두고 무슨 오해라 할까


 


양승수








뉴튼 사과와 이 시대 일상 적절한 시적 거리로 밀당

시는 언어예술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 언어가 박제된 문장으로만 남아서는 시가 되지 않는다. 언어는 화자의, 그리고 시인의 목소리가 실린 '말'이 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그 말이 살아 독자를 향해 나아갈 수 있고, 독자의 시가 될 수 있다. 시는 언제나 정의할 수 없는 어떤 것이지만, 시인이 되고자 꿈꾼다는 것은 또 언제나 이 언어와 말 사이에서 줄타기 하는 것이어야 한다.
한 사람의 새 시인을 찾기 위해 1,000편이 넘는 응모작을 만났다. 코로나시대의 불안증이 시 쓰기에도 가위 누르기를 한 까닭일까, 전반적으로 활기차고 패기 넘친 작품보다는 사색적이고 관조적인 작품들이 많았다. 또 상투적인 언어와 생경한 이미지의 나열로 인해 박제화 되어버렸거나, 최소한의 형상화 과정도 거치지 않은 채 기억과 일상을 그대로 진술하고 있는 응모작도 적지 않았다. 이들을 일차 걸러낸 후 남은 작품들을 다시 꼼꼼히 읽었다.
심사자의 감식안을 시험한 응모작에는 오랜 숙련의 흔적이 뚜렷하게 보이는 작품도 있고, 새로운 감각으로 세상을 읽어낸 작품도 있었다. 홍여니의 〈를리외르〉는 자신의 지나온 삶을 책 제본 과정에 빗대어 쓴 작품이었다. 그 상상력이 흥미로웠지만 묘사와 진술을 중첩시킨 어법에서 몇 군데 억지스러운 이미지가 정서적 몰입을 약화시킨 측면이 있었다. 고경자의 〈끈의 방식〉은 직장인의 삶의 방식과 애환을 진솔하게 담아내면서 체험과 사유를 잘 조화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마무리 부분에서 시적 긴장이 유지되지 못한 채 느슨하게 풀려버린 아쉬움이 남았다.
마지막까지 심사자의 손에 남은 응모작은 최형만의 〈새들의 삽화〉와 양승수의 〈만유인력〉이었다. 두 작품 모두 당선작으로 삼아 무방할 시품을 갖추고 있었다. 〈새들의 삽화〉는 언어를 다루고 시상을 직조하는 능력이 대단히 숙련되고 단단하였다. 굳이 흠을 잡자면 그 단단함 때문에 오히려 신인으로서의 활달함이 덜 느껴졌다는 것이다. 고민 끝에 〈만유인력〉을 당선작으로 선하였다. 거기에는 인간 존재의 무게와 삶의 부피를 응축시키는 상상력의 힘이 있었다. 뉴튼의 '사과'와 이 시대의 '일상'이 적절한 시적 거리로 밀고 당기고 있었다. 특히 꽤나 긴 호흡으로 끌고 간 작품인데도 끝까지 시상에 흐트러짐이 없었다는 점이 앞으로의 시적 성취에 대한 믿음을 갖게 하였다. 당선인에게는 축하를 드리며, 아깝게 선택되지 못한 분들에게도 심심한 위로와 격려의 말씀을 드린다.

김동근(전남대 국문과 교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ITE MAP